<Composition> 연작

"Composition" 연작은 관계성을 근간으로 하는 인간의 본질을 ‘문’이라는 메타포를 통해 풀어낸 작업이다. ‘분리’를 전제로 열리고 닫히는 ‘문’의 근원적 모순은 인간을 닮아있다. 분리를 통한 소통. 다름을 전제한 이해. 그것은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에 대한 역설이지만, 동시에 관계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연작에서 작가는 일상속에서 발견되는 ‘문’의 이미지를 화소, 즉 시각언어의 단위로서 활용한다. 작업 안에서 나타나는 ‘문’들의 반복과 배열로 인한 공간의 상대적 구획과 병합은 ‘나’와 ‘너’의 관계를 ‘여기’와 ‘거기’의 그것으로 치환하며 ‘분리’를 통해 비로소 공존하는 인간의 역설을 은유한다. 그것은 형이하학적 오브제와 그것이 암시하는 상대적 차원을 통하여 자아와 타자의 본질적인 관계성을 정립하고 시각화시키려는 시도이다.

 

series of "Composition"

In a series of “Composition”, I am trying to represent the essence of humanity based on the human relationship through the metaphor of 'door'.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on the assumption of 'separation' is connected to the feature of human being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remised o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It is the paradox about the way human being exists, but it is the way they relate to one another. In a series of works, I use the images of 'door' found in my everyday life as a pixel, unit of visual language. The division and integration of space through the repetition and arrangement of the 'doors' appearing in my work indicate the paradox of human existence that coexist through 'separation', which is repla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you' with those of 'here' and 'there'. It is an attempt to visualize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 and others through the composition of physical objects and the relative dimension they imply.